주목하다

요즘 눈에 들어오는 것들.

주식 시장 작살나도 트럼프가 관세 정책 밀어붙이는 이유는?

2025년 4월 2일 발표한 트럼프 관세로 미국 주식시장이 작살난 상태. * S&P500 : 10.5% 하락(시가총액 증발분 5조달러) * 다우존스 : 9.3% 하락 * 나스닥 : 11.4% 하락 4월 3일~4일 이틀 동안의 피해만 해도 이렇고, 앞으로 추가 하락이 예상된다. 문득, 트럼프 지지자들은 주식시장 이렇게 부서져도 괜찮나 하는 생각을 하던 차에

크립토 고인물 테스트 : 안드레아스 안토노풀로스 인터뷰

5년 전(2019년) 친구와 함께 기획했었던 인터뷰를 우연히 발견... 반가운 마음에 아카이빙 해봄. 인터뷰이는 <마스터링 비트코인> 저자인 안드레아스 안토노풀로스(Andreas Antonopoulos). 예전에는 크립토 판에서 꽤 존재감이 큰 구루급 인물이었는데 요즘에는 잘 활동하지 않는 것 같다. 인터뷰 질의-응답을 다시 보니 재미있다. 여전히 유효한 문제 의식도 있고, 안토노풀로스의 답변도 5년

트럼프가 비트코인 비축한다는데 가격은 왜 떨어지나요

트럼프가 비트코인 비축자산 관련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핵심 내용은 크게 4가지다. 1. 이미 몰수한 비트코인을 비축자산으로 삼을거야 2. 나머지 코인은 비축자산은 아니야. 3. 연방정부가 세금 넣어서 비트코인 사는 일은 없어 4. 이후 입법적인 진행에 대해서는 몰라(언급 없었음) 공식적으로 미국의 비축자산이 되었으니 비트코인의 위상은 상당히 높아졌다. 아마 이후에도 트럼프는 립서비스 차원에서

이제 슬슬 비트코인 수요가 딸리기 시작한걸까

흠. 비트코인의 수요를 측정하는 온체인 지표인 크립토퀀트의 Bitcoin: Apparent Demand(30-day sum)이 최근 음수로 전환. 이 지표는 이렇게 계산한다. ① 일일 블록 보상(채굴 보상으로 새로 발행되는 비트코인 양) ② 1년 이상 비활성 상태인 비트코인 공급량의 일일 변화량 Apparent Demand : ①-② 이 값을 30일 동안 누적한 것이 이 그래프의 값임. 통상

러시아를 당기려는 미국, 그리고 비트코인

미국이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을 정리하면서 러시아를 강하게 끌어당길 모양이다. 러시아의 약점은 경제발전에 필요한 산업 기술이 낙후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나마 몰빵되어 있는 농업도 세계 1위의 밀 수출국이지만 농업 기계화율(트랙터 작업률, 2022)은 78%밖에 안 된다. 밀, 감자 육류 등의 기본 식량품목 자급자족은 2024년에야 겨우 달성했다. 석유 등 에너지 자원도 매장량은

"젤렌스키야. 나도 순정이 있다"라고 말하는 트럼프의 자신감

당사국인 우크라이나를 제끼고 초강대국인 미국-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을 진행한다고 알려져서 국제사회의 쌍욕을 먹고 있는 가운데...미국 재무장관인 스콧 베센트가 파이낸셜 타임스(FT)에 이와 관련한 미국의 입장을 비교적 상세하게 기고했다. 읽어보면 가장 도드라지는 건 자신감이다. '야. 이제 세상이 바뀌었어. 여기에 맞춰. 니들도 그렇게 생각하잖아?'라는 분위기가 강하게 깔려

올해 암호화폐 시장은 상승. 하지만 경로는 '울퉁불퉁'?

암호화폐 섹터에서 최근 들어 가장 중요했던 이벤트는 2월 5일 있었던 '크립토 짜르' 데이비드 색스의 기자회견이라고 생각한다. 이 양반은 트럼프 정부에서 암호화폐와 AI 관련해 대통령에게 직접 조언을 하는 매우 중차대한 역할을 맡고 있고, 이날은 미 연방의회서 방구좀 낀다는 상임위 위원장급 인사들을 병풍처럼 세워놓고 트럼프 정부 디지털 자산 정책과 관련해 방향성을 제시했다.

세계는 곧 트럼프에게서 '문명5' 현실판을 보게 될 것 같다

예상대로 관세 25%를 도저히 버틸 수 없을 멕시코가 먼저 꿇었다. 트럼프가 시키는대로 펜타닐과 불법 이민자를 잡기 위한 국경 수비를 강화하고 한 달 간 관세를 유예하면서 세부 내용을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멕시코는 최근 중국 수출품의 우회 수출 통로로 길을 터주면서 돈을 많이 벌었지만, 이번 관세 협상에서 그것 모두를 되돌릴 정도로

트럼프 '관세 전쟁'이 정말로 물가를 폭등시킬까?

트럼프 관세 전쟁 영향으로 가장 많이 나오는 얘기가 미국의 물가상승률 증가 얘기다. 지금은 좀 잠잠하지만 이것 때문에 10년물 미국채 수익률이 폭등하면서 주식시장에도 큰 부담을 줬었지...하지만 정말 그럴까? 트럼프는 대통령 임기 1기 때도 기상천외한 대중국 관세 전쟁을 벌인 전력이 있다. 그게 벌써 몇 년 전이니 당연히 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됐다.

트럼프가 시작한 관세 전쟁, 각국의 예상 피해 규모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 캐나다와 멕시코에게 수입하는 제품에 25% 관세를, 중국에서 수입하는 제품에는 1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에 캐나다는 25%, 멕시코도 그에 상응하는 보복관세를 천명하고 나섰다. 중국 역시 WTO를 통한 제소 등을 언급. 이로 인해 매크로 경제 불확실성이 크게 증가하면서 휴일인데도 이것 때문에 비트코인 가격이 크게 조정을 받고

실리콘밸리뱅크가 망한 3번째 이유와 은행의 미래

한국 시간으로 3월 10일 오전쯤이었던 것 같다. 스마트폰에 굵은 대문자로 IMPORTANT MESSAGE라는 텔레그램 푸시 알림이 떴다. 내용은 장안의 화제였던 실리콘밸리 은행(SVB)에 입금한 돈이 있으면 즉시 옮기라는 것이었다. 주요 경제지의 기사 링크와 함께 왜 즉시 옮겨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황도 적혀 있었다. 재미있는 것은 내가 이날 이 메시지를 4개

스타벅스 중고 캐리백 구매자의 기쁨과 슬픔

국내 프랜차이즈 커피 전문점 스타벅스는 매년 여름과 겨울에 일정 수량 이상의 제조 음료를 사먹는 고객을 대상으로 이벤트 상품을 증정하는 'e프리퀀시' 행사를 해왔다. 올해 여름에는 증정품 중에는 여행용 가방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최근 여기서 발암물질인 폼알데하이드가 검출되어 화제다. e프리퀀시 행사를 통해 증정품을 받기 위해서는 약 2달 정도의 기간 내에 스타벅스에서

Subscribe to 3년후 연구소

Sign up now to get access to the library of members-only issues.
Jamie Larson
Subscribe